타입스크립트로 작성된 오픈소스 코드를 보다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react-hook-form 프로젝트 코드 중 일부입니다.
export const isObjectType = (value: unknown): value is object => typeof value === 'object';
이 코드에서
value is object
는 무엇일까요? 이것을 타입 서술어
(Type Predicate)라고 부릅니다. 타입스크립트 5.5버전 부터는 아마 이러한 타입 서술어가 필요없을 수도 있습니다. 타입스크립트 #57465 PR에서 함수의 타입 서술어를 자동으로 유추하는 기능이 추가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타입 좁히기
, 타입 서술어
, 그리고 추가될 타입 서술어 추론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타입 좁히기(Type narrowing)
먼저 타입 좁히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입 좁히기란 어떤 변수에 대해 정확한 타입으로 결정하는 것을 타입 좁히기라고 합니다.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어떤 변수의 타입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변수가 숫자 타입이거나 문자열 타입이거나 하는 경우처럼요. 이럴 때 타입스크립트는 타입 좁히기로 타입을 단 하나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foo(bar: number | string) {
if (typeof bar === 'number') {
return bar.toFixed(2); // bar의 타입이 number로 좁혀짐
} else {
return bar.toUpperCase(); // bar의 타입이 string으로 좁혀짐
}
}
아래와 같이 타입 가드
라고 부르는 검사를 통해 여러 타입을 가지는 bar
의 타입을 하나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타입 가드
if (typeof bar === 'number')
변수가 외부에서 오는 경우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경우에 필요한 기능으로 타입 가드를 사용하여 타입을 구체화하고 결정하는 과정을 타입 좁히기라고 부릅니다.
2. 타입 좁히기를 함수로 작성하기
그런데 동일한 타입 좁히기를 매번 반복해서 작성하는 것은 번거롭습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타입 좁히기를 다음과 같이 함수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isNumber(bar: number | string) {
return typeof bar === 'number';
}
그렇다면 이제 타입 좁히기 코드를 함수로 작성했으니 아까 작성했던 foo
함수에 isNumber
함수를 적용해볼까요? 과연 잘 작동할까요?
function foo(bar: number | string) {
if (isNumber(bar)) {
return bar.toFixed(2); // error) 'string | number' 형식에 'toFixed' 속성이 없습니다.
} else {
return bar.toUpperCase();
}
}
안타깝게도 타입스크립트는 isNumber
함수를 통해 타입을 좁히지 못합니다 😢. isNumber()로 검사를 이미 했음에도 bar의 타입을 string | number
으로 알고있네요.
함수로 작성했기 때문에 타입스크립트가 추론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타입 서술어
를 사용해야 합니다.
3. 타입 서술어(Type Predicate)
타입 서술어는 직접적으로 타입을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타입 서술어는 parameterName is Type
형태로 작성하며 parameterName
는 함수의 매개변수 이름이고 Type
은 서술하고자 하는 타입입니다.
위에서 정의한 isNumber 함수를 타입 서술어를 추가하여 다시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 isNumber(bar: number | string): bar is number {
return typeof bar === 'number';
}
function foo(bar: number | string) {
if (isNumber(bar)) {
return bar.toFixed(2); // bar의 타입이 number로 좁혀짐
} else {
return bar.toUpperCase(); // bar의 타입이 string으로 좁혀짐
}
}
이제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제 타입스크립트는 정확하게 타입을 좁힐 수 있습니다.
4. 타입 서술어의 문제점
그런데 말이죠. 타입 서술어를 사용하면 단점이 2가지 정도 있습니다. 첫 번째 단점은 작성하기 번거롭다는 점입니다.
동일한 기능을 단지 함수로 작성했을 뿐인데 타입 서술어를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단지 몇 자 추가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지만 여러 함수에 적용해야 한다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단점은 휴먼 에러로 잘못된 타입을 서술했을 때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다음과 예시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 `bar is string`으로 잘못 작성했을 경우
function isNumber(bar: number | string): bar is string {
return typeof bar === 'number';
}
위와 같이 타입 서술어 bar is string
와 실제 검사하는 코드 typeof bar === 'number'
가 일치하지 않아도 타입스크립트는 타입 서술어에 따라 타입을 좁히게 됩니다.
function foo(bar: number | string) {
if (isNumber(bar)) {
// bar의 타입은 타입 서술어가 서술한 타입 `string`으로 좁혀진다.
} else {
}
}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또다른 극단적인 예시를 한 번 생각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2D 좌표와 3D 좌표를 나타내는 타입이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좌표를 isPoint3D
함수로 타입을 좁히고 싶습니다.
type Point2D = { x: number; y: number };
type Point3D = { x: number; y: number; z: number };
function isPoint3D(point: Point2D | Point3D): point is Point2D {
return 'x' in point && 'y' in point && 'z' in point;
}
그런데 타입 서술어를 point is Point2D
와 같이 잘못 작성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function someAction(point: Point2D | Point3D) {
if (isPoint3D(point)) {
// point의 타입은 타입 서술어가 서술한 타입 Point2D로 좁혀진다.
} else {
}
}
타입스크립트는 타입 서술어가 서술한 타입으로 Point2D
타입으로 좁혀지기 때문에 point.z
에 접근하는 코드가 없다면 컴파일 시점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런타임 시점에 훨씬 심각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5. 타입 서술어 추론(Type Predicate Inference)
타입스크립트 5.5부터 도입되는 자동 추론 기능으로 인해 더 이상 타입 서술어를 작성하지 않아도 타입을 자동으로 유추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번거로운 작성과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타입스크립트 5.5부터 도입되는 기능
// bar is number라는 타입 서술어가 없어도 동작
function isNumber(bar: number | string) {
return typeof bar === 'number';
}
function foo(bar: number | string) {
if (isNumber(bar)) {
// bar의 타입은 number로 좁혀진다.
} else {
}
}
#57465 PR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유용한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저는 filter 예시가 꽤나 유용할 것 같습니다.
const nums = [12, 'foo', 23, 'bar'].filter(x => typeof x === 'number');
// 도입전) nums는 (string | number)[] 타입을 가집니다.
// 도입후) 이제 nums는 number[] 타입을 가집니다.